백엔드와 함께하는 첫 프로젝트 기획과 디자인 10월에는 백엔드와 함께하는 최종 프로젝트가 시작되는 달이었다. 백엔드와 소통을 한 번도 해보지 않아서 어떻게 소통을 해야 잘 할 수 있을까 개발 외적으로 고민을 했던 것 같다. 기획자와 디자이너 없이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가 해야해서 막막했다... 그래서 기획도 엎어지고 다시 하는 경험도 하면서 처음 하는 것이기에 당연하지만 쉽지 않았다. 기획과 디자인을 할 수 있는 경험을 가질 수 있다는 생각으로 긍정적으로 임했다. 거기에다가 프론트엔드 팀장을 맡아서 어깨가 좀 무거웠지만 팀의 분위기를 쳐지지 않고 증진시킬 수 있도록 노력을 했다. 다행히 팀원들과 지향점도 일치하고 잘 맞아서 힘들었지만 즐거웠다. 어떻게든 기획도 괜찮게 만들어진 것 같아서 여기서 기능도 기능이..
https://github.com/prgrms-fe-devcourse/FEDC4_Campers_Jaeho 9월은 팀 프로젝트를 하는 달이었다. 인생을 살면서 첫 프로젝트이기도 하고, 팀장도 처음으로 맡아서 하게 되었다. 개발 더 나아가 인생을 살면서 잊지 못하는 순간 중 하나라는 생각이 든다. 다사다난했던 한 달이었기 때문이다. 기술적인 측면보다는 경험적인 측면에서 회고를 해보려고 한다. 개발에 대한 회고 좋았던 점 초기 설정 (husky, prettier, eslint, lint-staged, commitlint, github) axios (auth) auth page 및 회원가입 컴포넌트 공통화, alert-dialog 창, tabs 창 context API (userInfo) 크게 위와 같이 나누어..
데브코스를 시작하고 2달이 흘러버렸다. 지금까지 주요했던 것들을 위주로 회고를 작성해보려 한다. 유효성 검사(validation) 과제 내용들 중 validation을 구현해보라는 내용이 있었다. 평소 코딩을 할 때 유효성 검증에 대한 생각은 한 번도 해본적이 없었고, 실제로 해본적도 없었다. 과제를 하면서 그리고 한 후 유효성 검증을 어떤 식으로 해야하는지 알아보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. 멘토님의 하신 말씀을 정리하여 짧게 정리하고 복기하려고 한다. 유효성 검사, 얼마나, 어떻게 해야하는 것인가? 완벽과 잘 하는 것 유효성 검사를 완벽하게 하면 너무 좋지만 그럴 수 없기에 현실과 타협해서 우선순위를 정하고 하나씩 해결하는 방식을 추구하자 즉 하나씩 잘 해결해나가면서 자연스럽게 완벽을 추구하는 그림을 그리..
새로운 시작 말로만 듣고 온라인으로 github repository를 참고하기만 했던 프론트엔드 데브코스가 시작되어 버렸다...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도 내가 이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는 것이 믿겨지지가 않는다. 만남 3기 tooooo1님과의 만남 약 1년 전부터 github 상기로 혼자 알고만 있던 tooooo1님과 프론트엔드 데브코스에서 운영중인 디스코드에서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. 마치 연예인을 보는 듯한 기분이랄까...? 이야기를 하다보니 같은 동네에 살게 된다는 것을 알게되었고, 시간은 새벽 1시였지만 만나게 되었다. 그동안 github상으로 궁금한 코드들도 많았고, 평상시에 어떻게 생각하시는지, 막힐 때 어떻게 대처하는지, 어떻게 삽질(?)을 하시는지 물어보고 직접 하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