brew update brew update homebrew 를 최신 버전으로 update 합니다. tap 되어있는 모든 저장소를 업데이트합니다. 위 사진을 보면 필자와 같은 경우 homebrew/cask-versions, home-brew/core, homebrew/cask, homebrew/services가 update가 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우선 formula는 쉽게 말해서 java, python, mysql과 같이 CLI 환경에서 동작하는 것이고 cask는 vscode나 intellij-IDEA와 같이 GUI 환경에서 동작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위 사진에서 현재 업데이트 된 formula는 libomp이고, cask는 visual-studio-code 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bre..
shell 확인하기 echo $(which zsh) 처음에 brew를 통해서 zsh를 설치하신 후 echo $(which zsh) 명령어를 입력하면 /usr/bin/zsh 가 나올 것입니다. 설치 후 자동적으로 변경이 된 줄 알았으나 변경이 되지 않은 이유는 설치는 하였으나 아직 시스템에 추가하지 않았고 shell을 변경하는 동작을 취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. 설치를 하였지만 사용하려고 하는 /usr/local/bin/zsh 가 아직 설정이 되지 않았습니다. 사용을 하기 위해선 설치한 /usr/local/bin/zsh 을 /etc/shells 에 추가해줘야 합니다. 또한 추가를 하기 위해선 root 권한이 필요해 앞에 sudo 명령어를 써야만 합니다. etc/shells에 /usr/local/bin/zsh..
계기 macOS 기존의 런치패드는 행이 5, 열이 7인 배열입니다. macOS를 사용하면서 하단 독의 아이콘 크기에 비해서 런치패드의 아이콘 크기가 너무 크기도 하고 깔린 앱들을 페이지를 넘기며 보는 것 또한 번거로워 배열을 조정할 수 있으면 편할 것 같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. 설정하기 defaults write com.apple.dock springboard-columns -int 11 ##열 숫자 defaults write com.apple.dock springboard-rows -int 9 ##행 숫자 killall Dock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행을 9 열을 11로 바꾼다고 가정하고 위 코드를 실행시킨다면 위 이미지와 같이 변경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필자는 기존의 배열보다 보기 편하다는 생각..